차례 제사 지방 쓰는 법(+양식)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지방이란?

  • 지방 : 집안과 차례의 대상이 되는 조상님의 정보를 적은 종이 – 위패에 붙여서 사용합니다.
  • 지방은 조선 시대 양반층의 조상을 모신 사당의 위패를 가난한 사람들이 임시로 종이에 글을 적어 위패로 삼던 것이 현재의 형태로 굳어졌습니다.

지방 쓰는 법

지방 쓰는 법

가장 위에 성별에 관계없이 나타날 현을 적어 줍니다.
(아랫사람의 경우 생략 또는 망을 적어줍니다.)

1번 위치에는 고인과 제사를 지내는 사람과의 관계를 적어줍니다.

  • 아버지 : 考 (상고할 고)
  • 어머니 : 妣 (죽은어미 비)
  • 할아버지 : 祖考 (조상 조, 상고할 고)
  • 할머니 : 祖妣 (조상 조, 죽은어미 비)
  • 증조할아버지 : 曾祖考 (거듭 증, 조상 조, 상고할 고)
  • 증조할머니 : 曾祖妣 (거듭 증, 조상 조, 죽은어미 비)
  • 형 : 兄(맏 형)
  • 형수 : 兄嫂(맏 형, 형수 수)
  • 동생 : 亡 弟(잃을 망, 아우 제) – 한자는 망할 망으로 나오는데 여기서는 잃을 망으로 읽어줍니다.
  • 자식 : 亡 子((잃을 망, 자식 자)
  • 처 : 亡 妻((잃을 망, 아내 처)

2번 위치는 직위입니다.

  • 남자 : 학생 學生 (배울 학, 날 생)
  • 여자 : 유인 孺人 (젖먹이 유, 사람 인)

3번은 고인의 이름을 적습니다.

  • 남자의 경우 부군 府君(관청 부, 임금 군)
  • 여자의 경우 본관 성씨(예 : 김해 김 씨 등)

부 : 현고 학생 부군 신위(顯考 學生 府君 神位)
현고: 본인과 조상의 관계를 나타내고 아버지는 현고만 적고 대상에 따라 바뀝니다.
학생: 조상의 지위 즉 벼슬 및 직위를 뜻 합니다.
부군: 남편의 높임말
신위: 조상을 모신다는 듯

모: 현비 유인 본관 성씨 신위(顯妣 孺人 00 0氏 神位)
현비: 본인과 조상의 관계를 말하며 모는 비를 적습니다.
유인: 여성과 부인의 높임말입니다.
본관 성씨: 본관과 성씨를 적습니다.
신위: 조상을 모신다는 뜻

조부: 현조고 학생 부군 신위

조모: 현조비 유인 본관 성씨 신위

증조부: 현증조고 학생 부군 신위

증조모: 현증조비 유인 본관 성씨 신위

고조부:​ 현고조고 학생 부군 신위

고조모: 현고조비 유인 본관 성씨 신위

남편: 현벽(顯辟)

아내: 망실(亡室), 고실(故室)

형: 현형(顯兄)

동생: 망제(亡弟), 고제(故弟)

자식 : 망자(亡子), 고자(故子)

​고인과의 관계 다음에 직위를 쓰게 되는데, 주로 관직을 씁니다.
현대에는 남자는 학생, 여성은 유인이라고 적으시면 됩니다.

4 183
ECB694EC849D ECB0A8EBA180 ECA780EBB0A9EC93B0EB8A94EBB2951

지방 규격

  • 규격: 가로 6cm, 세로 22cm, 준비된 용지에 붓펜을 이용해 작성합니다.
  • 용지: 한지 및 창호지를 사용해 왔으나 요즘은 A4용지에 출력해서 많이 사용합니다.
  • 위치: 한 분이면 정가운데, 두 분이 쌍을 이루는 경우 남성이 왼쪽, 여성은 오른쪽에 작성합니다.
제사 지방2

주의사항

  • 지방은 제사를 모시는 사람의 기준으로 작성을 합니다. 
    즉 장자 또는 장손을 이야기합니다.
  • ​지방은 재사용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