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사 차례 상차림과 절차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차례 상차림 / 제사 상차림

아래 그림과 같이 5줄에 병풍을 마주 보는 상태를 기준으로 동서남북 방향을 판단하시면 됩니다.

차례상 차리는 법2

첫 번째 줄 – 반서갱동 (살아 있는 사람과 반대)

  • ​신위를 모셔 둔 첫 줄에는 식사류인 수저, 잔, 국을 놓습니다.
  • 밥은 서편, 국은 동편에 두시면 됩니다.
  • 설날에는 떡국을, 추석에는 토란국을 올리는 게 특징이지만 집마다 다를 수 있습니다.
  • 시접(중앙), 술잔(서쪽), 초접을 세팅합니다.

두 번째 줄 – 어동육서, 동두서미

  • 두 번째 줄에는 메인 요리인 국수, 전과 산적을 올립니다.
  • 어동육서에 따라 서쪽에 육적, 동쪽에는 어적, 가운데는 소적(두부 부침)을 올립니다.
  • ​이때 생선의 머리는 동쪽으로 향해야 하며, 생선 등은 위로 향하도록 놓습니다.(동두서미)

세 번째 줄 – 어동육서

  • ​세 번째 줄에는 탕류가 올라갑니다.
  • 탕류도 두 번째 줄과 동일하게 서쪽부터 육탕(육류), 소탕(두부,채소류), 어탕(어패류) 순으로 놓습니다.

네 번째 줄 – 좌포우혜

  • ​네 번째 줄에는 밑 반찬류를 올립니다.
  • 포는 왼쪽, 식혜는 오른쪽입니다.
  • 또한, 익힌 나물은 서쪽에, 생김치는 동쪽에 배치합니다.

다섯 번째 줄 – 홍동백서, 조율이시

  • ​제사상 마지막 줄에는 과일과 한과가 올라가게 됩니다.
  • 대추나 배, 밤, 곶감, 사과와 한과 등이 해당합니다.
  • ​과일은 홍동백서에 의해, 붉은 과일은 오른쪽, 하얀 과일은 왼쪽에 배치해 둡니다.

차례 상차림 주의사항

  1. 제사상에는 양을 의미하는 홀수로 올립니다. (1개, 3개, 5개 등)
  2. 귀신을 쫓는다고 알려진 복숭아, 곰치, 삼치, 갈치는 올리지 않습니다.
  3. 고춧가루, 마늘은 차례상에 올리지 않고 차례 음식에도 사용하지 않습니다.

[참고]  성균관, 차례상 표준안 발표(2022) 

차례 상차림

제사의 시기

  • 기제사는 전통적으로는 조상이 돌아가신 날의 첫 새벽(새벽 0시 직후)에 지냈습니다.
  • 그러나 오늘날은 기일의 저녁 시간에 지내는 경우가 많습니다.
  • 차례의 경우 명절의 오전 시간에 지내는 것이 보통입니다.

제사 절차

  • 제사를 가가례(家家禮)라고 할 정도로 제사 절차는 집안마다 다릅니다.
  • 따라서 제사 지내는 방법을 잘 모른다면, 집안의 어른에게 물어보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 이 글에서는 대체적인 제사의 방법을 소개하며, 평소 집안에서 지내는 방법과 다를 경우에는 집안의 방법을 따르기를 추천합니다.
    • 제주(祭主) : 제사의 주인이 되는 사람
    • 집사 : 제주를 돕는 사람
    • 제사에서는 술을 3번 올리는데, 각각 ‘초헌’, ‘아헌’, ‘종헌’이라 합니다.
  1. 강신 : 제주가 향을 피우고, 집사가 잔에 술을 부어주면, 제주가 모삿그릇에 3번 나누어 붓고 두 번 절합니다.
  2. 참신 : 일동이 모두 두 번 절합니다.
  3. 초헌 : 집사가 잔을 제주에게 주고 술을 부어줍니다.
    제주는 잔을 향불 위에 세 번 돌리고 집사에게 줍니다.
    집사가 술을 올리고, 젓가락을 음식 위에 놓고 제주가 두 번 절합니다.
  4. 독축 : 모두 꿇어 않고 제주가 축문을 읽습니다. 다 읽으면 모두 두 번 절합니다.
  5. 아헌 : 두 번째로 술을 올리는 것으로, 제주의 부인 혹은 고인과 제주 다음으로 가까운 사람이 합니다. 절차는 초헌과 같습니다.
  6. 종헌 : 세 번째 술을 올리는 것으로, 제주의 자식 등 고인과 가까운 사람이 합니다.
    절차는 아헌과 같은데, 술을 7부로 따라 첨잔을 할 수 있도록 합니다.
  7. 유식 : 제주가 제상 앞에 꿇어앉고, 집사는 남은 술잔에 첨잔합니다. 제주의 부인이 밥뚜껑을 열고 숟가락을 꽂습니다.
    젓가락을 시접 위에 손잡이가 왼쪽을 보게 놓고, 제주가 두 번, 부인이 네 번 절합니다.
  8. 합문 : 문 밖에 나가 잠시 기다립니다. 어쩔 수 없는 경우 일동 무릎을 꿇고 잠시 기다립니다.
  9. 헌다 : 국을 물리고 숭늉을 올립니다. 밥을 숭늉에 세 번 말아 놓고 수저를 숭늉 그릇에 놓습니다. 잠시 무릎을 꿇고 기다립니다.
  10. 사신 : 숭늉의 수저를 거두고 밥그릇을 닫습니다. 일동 두 번 절하고 지방과 축문을 불사릅니다.
  11. 철상 : 뒤에서부터 차례로 제사 음식을 물립니다.
  12. 음복 : 제수를 나누어 먹습니다.

차례 절차

  • 기제사와 마찬가지로 차례도 치르는 방법이 집안마다 다릅니다.
  • 어느 방법이 옳다고 말하기는 어려우며, 집안에서 대대로 내려오는 방법을 따르는 것이 좋습니다.

1.

  1. 강신 : 제주가 향을 피우고, 집사가 잔에 술을 부어주면, 제주가 모삿그릇에 3번 나누어 붓고 두 번 절합니다.
    묘지에서는 아래 참신을 먼저 하고 강신합니다. 묘지에서는 모삿그릇 대신 땅에 뿌려도 무방합니다.
  2. 참신 : 일동이 모두 두 번 절합니다.
  3. 헌주 : 제주가 술을 올립니다. 기제사와 달리 제주가 직접 상 위에 잔에 바로 술을 따르는 것이 보통입니다.
  4. 삽시정저 : 떡국 혹은 송편에 수저, 시접에 젓가락을 정돈합니다.
  5. 시립 : 일동이 잠시 동안 공손히 서 있습니다.
  6. 사신 : 수저를 거두고 뚜껑이 있다면 닫습니다. 일동 두 번 절하고 지방과 축문을 불사릅니다.
  7. 철상, 음복 : 기제사와 동일하게 상을 치우고 음식을 나누어 먹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