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에 투자하는 방법 6가지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금에 투자하는 방법 6가지

아래 금 투자 방법은 개인적인 경험에 따른 생각이므로 정답인 것은 아닙니다.
모든 투자의 책임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여기서 금 목걸이, 팔찌 등 액세서리에 대해 말하지 않은 이유는 제작비(수공임)가 많은 부분을 차지하여 시세와 큰 차이가 있어 제외했습니다.

골드바 구입

흔히 아는 골드바를 귀금속 상점, 은행, 금거래소 등에서 구입하는 방법입니다.
예전에는 시세가 공개되지 않아 거래가 불투명했지만 지금은 쉽게 조회할 수 있습니다.
골드바가 아닌 목걸이, 금 거북이 등은 수공(세공비)가 추가되므로 가격차이가 큽니다.

금에 투자하는 방법

1) 골드바 투자의 장점

  • 구입 시 부가가치세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가치를 계산할 때 헷갈리지 않는다.
  • 매각 시 거래세(양도세)를 내지 않는다.
  • 상속, 증여 시 세무당국이 포착하기 어렵다.
  • 경제위기 때 언제든 금고에서 꺼내 쓸 수 있다.
  • 실물을 볼때마다 마음이 든든하다?

2) 골드바 투자의 단점

  • 1회에 큰 금액의 투자가 필요할 수 있다.
  • 매도 시 높은 수수료가 추가된다.(약 5~7%)
  • 매매차익이 작은 편이라 단기 투자에 맞지 않다.
  • 보관상의 문제

금 유가증권 구입

금 거래소에는 유가증권을 판매합니다. 골드바 대용 증권을 구입하는 것이죠.

금에 투자하는 방법

1) 금 유가증권 투자의 장점

  • 매매 수수료가 작다.(1%)
  • 매각 시 거래세(양도세)를 내지 않는다.
  • 보관의 부담이 적다.
  • 골드바 실물로 교환할 수 있다.(유가증권 구입처에서)

2) 금 유가증권 투자의 단점

  • 실물 교환 시 구입 시점의 금액을 기준으로 부가가치세를 추가 납부해야 한다.
  • 거래소에 실물로 바꾸러 직접 가야 한다.

금 통장(골드뱅킹)을 이용한 투자

은행에서 가입할 수 있는 골드뱅킹, 골드리슈 통장을 통해서 금에 투자하는 방법입니다.
처음엔 괜찮은 방법이었는데 이슈가 되면서 배당소득세가 부과되고 효용이 떨어진 방법입니다.

1) 금 통장(골드 뱅킹) 투자의 장점

  • 투자 한 번에 큰 금액이 필요 없다. (0.01g 단위 거래 가능)
  • 거래가 간편하다.
  • 매매 즉시 현금화 가능하다.
  • 보관의 부담이 적다.
  • 골드바 실물로 받을 수 있다.(은행에서)

2) 금 통장(골드 뱅킹) 투자의 단점

  • 구입 시 원화를 달러로 환전 후 금을 구입하므로 투자 시 환율과 금 시세 모두 고려해야 한다. (매도 시도 동일)
  • 출금 시 수수료 1%가 추가된다.
  • 실물 교환 시 구입 시점의 금액을 기준으로 부가가치세를 추가 납부해야 한다. (은행에서 실물교환)
  • 실물로 바꾸러 직접 은행에 가야 한다.
  • 매매차익에 배당소득세 15.4%가 부과되고, 차익이 2천만 원을 초과하는 경우 종합소득세 신고를 해야 한다.
  • 예금자 보호가 되지 않는다.

KRX거래소를 통한 투자

증권사에 금현물 계좌를 만들어 금에 투자하는 방법입니다. 주식을 하듯 투자할 수 있습니다.

1) KRX거래소 투자의 장점

  • 1g단위로 투자 가능해서 큰 금액이 필요 없다.
  • 매매차익 비과세 대상이다.
  • 거래 수수료가 0.2%~0.5%로 낮다.
  • 보관의 부담이 적다.

2) KRX거래소 투자의 단점

  • 실물 교환 시 구입 시점의 금액을 기준으로 10%의 부가가치세를 추가 납부해야 한다.
  • 거래 시마다 0.3%정도 거래 수수료를 내야한다.

펀드 / ETF를 통한 투자

요즘 금 펀드는 취급하는 곳이 거의 사라진 상태라서 ETF를 기준으로 적어보았습니다.

1) 펀드 / ETF 투자의 장점

  • 투자 한 번에 큰 금액이 필요 없다.
  • 투자 방법이 간편하다.

2) 펀드 / ETF 투자의 단점

  • 정확한 금 시세와 펀드 / ETF의 가치가 연동되지 않는다.
  • 해외 ETF 수익의 경우 250만원 초과분은 양도소득세 22%를 신고, 납부 해야한다.
  • 국내 ETF 수익은 배당소득세 15.4%가 부과된다.
  • 실물 교환이 불가능하다.

앱테크(센골드, 윈골드 등)

1) 앱테크 투자 장점

  • 100원 단위 등 소액 투자가 가능하다.
  • 앱테크로 모은 포인트 등으로 투자할 수 있다.
  • 현재 매매차익 비과세이다.

2) 앱테크 투자 단점

  • 앱에 따라 사고팔때 수수료가 나간다.
  • 계좌 송금 시 수수료가 있다.
  • 실물 인출 시 부가가치세 납부가 필요하다.